통계학을 이루는 뼈대


통계학은 크게 '기술 통계'와 '추리 통계'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음



기술 통계

  • 관측을 통해 얻은 데이터에서 그 데이터의 특징을 뽑아내기위한 기술
    • 표와 그래프로 표현하는 방법론
      • 도수분포표
      • 히스토그램
    • 통계량으로 표현하는 방법론
      • (여러 가지) 평균값
      • 표준편차


추론 통계

  • 통계학 방법과 확률 이론을 섞은 것으로, '전체를 파악할 수 없을 정도의 큰 대상'이나 '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에 일어날 일'에 관해 추측하는 것
    • '부분으로 전체를 추측한다'는 의미

        


(통계학 도감, 2017)


통계와 확률의 차이

  • 현재를 기준으로 보면 통계와 확률의 의미는 아주 다르다.
  • 시간 축 위를 오고가다보면 그 차이는 거의 없다.
    • 미래에 일어날 것은 시간이 지난 후에는 이미 일어난 과거의 일이 된다.
    • 과거에 일어났던 것은 그 전 시점으로 가면 미래에 일어날 일이 된다.
  • 그러나 사용하는 용어는 같아서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다.
    • 확률에서 확률변수라는 용어를 사용
    • 그러나 의미는 동일하다.

통계

  • 관측된 데이터의 집합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과거에 일어난 일에 관한 기술

확률

  • 미래에 일어날 것에 관한 기술


       


출처: 세상에서 가장 쉬운 통계학 입문

+ Recent posts